불량률은 몇 퍼센트까지 허용해요?

선배, 불량률은 몇 퍼센트까지 허용해요? 화학공장 신입사원 시절. 현장을 지나다 배관작업을 지켜본 부장이 용접이 불량스럽다며 용접 부위 전부를 RT(Radiographic Test 방사선투과검사)하라는 명을 내렸습니다. 개뿔도 모르던 나는 선배에게 불량이 몇 퍼센트가 나오면 페널티를 적용하냐고 물었습니다.

비파괴검사는 결함을 찾는 것인데 불량이 나오면 100퍼센트 재작업을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검사비용이 고가이고, 작업기간이 늘어나게 됐습니다. 다행히 용접하던 배관이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것이 아니었던지라 부장을 설득했습니다. 기량 높은 용접사로 교체하고 관리감독을 잘하겠다고 빌어서 겨우 작업 스케줄을 맞출 수 있었습니다.

얼마 후 철골에 내화도장을 할 때도 도장 두께를 확인하며 기준 이하인 부분은 보수하도록 했습니다. 도장 두께가 불량이면 화재에 취약한 부분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때도 불량률은 의미가 없습니다. 검사를 많이 해서 불량 부위를 찾아야 합니다. 그 후 계약서를 다루는 일을 할 때 작업시방서나 체크리스트에 검사기준이 빠지지 않았는지 유독 신경을 썼습니다.

사람도 그렇습니다. 윤석열은 아주 솔직하게 진심을 말하는 데 실언, 망언, 구설수라고 포장을 해주는 건 아닐까요. 불량투성이인데 불량이 아니라고 합니다. 권력은 인간 본연의 모습을 드러나게 한다는데, 총장 자리에서 잠깐 보였지요. 나라의 미래를 맡길 대통령을 뽑는데 불량률 100퍼센트인 하자투성이가 저지르는 꼬라지를 5년 내내 볼 수는 없겠지요. 다시 투표근력을 키울 때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