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편에 관한 몇 가지 단편들
1. 과장의 변천 신입사원 시절이던 90년대 초. '과장이 되면 펜대와 말을 놓는다'라고 했다. 회사에서 과장이 된다는 것은 노조에도 가입이 안 되고 사측에 속하게 된다. 과장이 되면 슬그머니 하대(下待)를 하며 펜대를 놓고, 앉아서 결재 도장만 찍는 걸 빗대서 하는 소리다. 과장이라는 직급부터 관리자라고 하였으며 실제 그랬다. 그런 과장이 바뀌게 된 것이 IMF 때다. 그 무렵부터 몇 년간 신입사원 보기가 하늘의 별 따기보다 어려웠다. 그전에는 과장이 되면 적어도 부하직원이 분대 병력은 됐는데 그놈의 IMF 덕분에 나 홀로 과장들이 늘어났다. 후임자가 없으니 하던 일에 관리자라는 타이틀만 붙게 됐다. 관리자가 왜 그 모양이냐는 핀잔에다 담당자가 그것도 모르느냐는 질책까지 더해지게 됐다. 그 후로 쭈~욱 과장은 점점 말단이 돼가고 있다. 부장은 어떠냐고? 과장이 그럴진대 부장은 오죽 하려고. 업무시간에 신문 보는 부장들이 사라졌다. 인터넷으로 주식하고 있는지는 모니터가 안 보여 모르겠다. 다만 위안을 삼는 것이 아직 안 잘리고 월급을 받고 있다는 거. 2. 조직개편은 무식한 놈이 한다. 조직개편은 그 조직을 전혀 모르거나 이해관계가 없는 사람이 주도한다. 한마디로 무식한 놈이 칼을 빼들고 조직을 수술한다. 조직에 발을 담그고 있는 사람에게 시키면 백이면 백 모두 용두사미로 끝난다. 조직을 이리 붙였다 저리 붙였다 하다 보면 분명히 중복되는 자리가 생기게 마련. 그 자리는 틀림없이 과장이거나 부장 자리다. 임원은 임시직원이므로 패스. 자리를 하나 없애야 하는데 김 과장을 자르자니 엊그제 얻어먹은 폭탄주가 걸리고, 박 과장을 자르자니 일요일에 골프를 같이 쳤으니 그럴 수 없고. 이리저리 고민하다 두루뭉술한 개편안이 나오게 된다. 산전수전 다 겪은 사장이라는 사람은 수술하려는 조직과는 전혀 상관없는 제3의 사내 인물이나 외부 컨설팅 업체에 조직개편을 맡기게 된다. 그들은 실사를 하는 둥 마는 둥 몇 번 보이다가 떡하니 조직개편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