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극우주의의 양상

자본의 집적 1 경향은, 자신이 전적으로 부르주아라는 계급적 자의식을 지니고 있고 또 자신의 계급적 특권과 사회적 지위를 유지함과 동시에 가급적 강화하려 하는 여러 계층들이 영구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이 계층 집단들은 예전과 마찬가지로 사회주의, 혹은 자신들이 사회주의라 부르는 대상을 증오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이는 그들이 자신들에게 늘 잠재해 있는 계급 하락의 책임을 그 원인이 되는 장치에 묻는 대신, 자신들이 한때 지위를 누렸던 체제를―전통적인 관념에 따르자면―비판적으로 적대해왔던 사람들에게 책임을 전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0) 신념이나 이데올로기라고 하는 것은 자주 그렇듯이 객관적인 상황에 의해서 더 이상 그 실체를 유지하지 못할 때 비로소 자신의 악마적인 성격을, 자신의 진정으로 파괴적인 성격을 띠게 마련이지요. 마녀재판이 실제로 벌어졌던 때는 토마스주의가 절정에 달했을 때가 아니라, 반종교 개혁의 시대에 와서였습니다. (13) [극우주의에] 가장 영향 받기 쉬운 집단이 특정한 소시민 계급 집단이기는 합니다. 무엇보다도 백화점 등 유사 상업시설이 소매업을 독점함에 따라 직접적인 위협을 받고 있는 소상공인들이 특히 그렇지요. 하지만 소시민 외에도, 아시다시피 언제나 위기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는 농부들도 분명 두드러진 역할을 합니다. 제 생각에는 농업 문제를 근본적인 방식으로, 그러니까 보조금 지급 등 그 자체로 문제가 되는 인위적인 방식이 아닌 제대로 된 방식으로 해결하는 데 성공하지 못한다면, 즉 이성적이고 합당하게 농업을 집산화하는 데 정말로 성공하지 못한다면 이 불길의 진원지는 꺼지지 않은 채 남아 있을 것입니다. (15) 파시즘 운동이 경제와 맺는 관계는 구조화되어 있으며, 이 관계는 바로 저 자본의 집적 경향 속에, 또 빈곤을 양산하는 경향 속에 숨어 있다는 것입니다. (18) 저는 공포의 예견이란 말이 지금 극우주의에 관한 통상적인 견해에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대단히 핵심적인 무언가를 건드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