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스스로 길을 찾는다

'자본'의 세상이다. 모두가 자본 앞에 무릎 끊고 처분을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새삼스러운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자본의 위세에 감히 덤벼들 엄두조차 못 내는 듯하다. 하기는 자본이 세상에 나온 이후 제대로 도전을 받아 본 적도 많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자본은 인간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꾸면서 힘을 보여 주었다. 짧은 시간에 이토록 세상을 변화시킨 자본은 대단한 '괴물'이라는 생각도 든다. 더구나 자본은 자고 일어나면 모습이 바뀌니 따라잡기도 벅차다. 자본의 역사를 들여다본 사람은 알겠지만, 자본이 여기까지 오는 데 신세(?)를 진 것이 있다면 바로 맑스주의와 공황이다. 맑스의 지적처럼 자본은 세상에 나올 때 온갖 오물을 뒤집어쓰고 피를 뚝뚝 흘리고 있었기 때문에 곧바로 억압과 착취를 먹고 산다는 게 알려졌다. '자본 사냥꾼'이 나타난 것은 당연하다. 바로 맑스주의다. 사냥꾼은 무기를 살피고 신발 끈도 단단히 맸다. 자본이 어떤 녀석인지, 어떻게 살아가는지, 밤새워 공부도 했다. (...) 자본은 경쟁하면서 살기 때문에 매일매일 단련된다. 또 변신에도 귀신이다. 한순간도 쉬지 못하고 경쟁하고 변신하기 때문에 자본 스스로도 숨이 턱턱 막힐 것이다. 하지만 자본은 동료들과 치열하게 경쟁하는 한편 사냥꾼과 몰이꾼에게 항상 쫓기는 형편이기 때문에, 강한 체력과 정신을 유지해야 한다. 자본이 강해질 수밖에 없는데, 허점이 보이면 사냥꾼에게 발견되기도 전에 동료들에게 잡아먹히거나 산 아래로 쫓겨 날 수도 있는 것이다. 자본을 강하게 만드는 또 하나의 계기는 주기적으로 체력을 보강해 주는 공황이다. 유기체가 생명을 이어 가는 방법은 여러 가지지만, 가끔 몸져누워서 불필요한 것들을 털어 내는 것도 나쁘지 않다. 골골 팔십이라더니, 주기적으로 폭발하는 공황은 자본이 숨기고 싶은 고질병이지만 공황 덕분에 몸도 추스리고 군더더기도 정리하게 된다. 공황이 폭발한다고 자본 때문에 사냥꾼이 신날 것은 없지만, 자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