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은 살아 있다
- '도서관은 성장하는 유기체다.(A library is a growing organism.)' 이 문장은 도서관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도의 수학자이자 문헌정보학자인 S. R. 랑가나단이 제시한 '도서관학 5 법칙' 중 마지막 법칙이다. (4)
- 도서관은 이미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정보와 지식을 입력(input)하는 수준을 넘어 입력된 내용을 기반으로 상상하고 창작하는 출력(output)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지식정보를 제공하는 고유의 역할을 수행하는 태도를 살펴봐도 시설과 장서를 관리한다는 관점이 이용자와 사서의 소통에 주안점을 둔 사람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14)
- 지나친 이기심 때문에 친구도 이웃도 없다는 오늘날,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 존재해야 하는 이유를 이 대목에서 찾을 수 있다. 주민들이 이웃과 더불어 사는 지역공동체의 가치를 확인하고, 활성화해야 할 필요성을 스스로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35)
- 게다가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 로 대변되는 창의 공간 기능까지 요구받고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 '독서를 하면 좋다'면서 입력(input)만 강조하던 도서관이 '독서를 통해 무엇을 얻을 것인가'란 질문을 던지면서 출력(output)까지 챙겨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46)
- 인간만이 수행할 수 있는 상상력, 창의력, 융합, 감성, 윤리 등 아날로그 영역이 바로 그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향해 브레이크가 고장난 기관차처럼 폭주하는 디지털 대전환이 진행되면 될수록 역설적이게도 우리는 아날로그 영역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 우리 삶의 본질이 인간과 인간의 삶에 대한 논의와 고민에서 도출되기 때문이다. (72)
- 이제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코로나 일상을 맞이하고 있다. 코로나 탓만 할 것이 아니라, 기존 생각의 틀을 완전히 바꿈으로써 변화된 세상에 적응해야 한다. 디지털 대전환을 대하는 자세도 마찬가지다. 아날로그 세대는 디지털 대전환을 단순히 도구의 변환으로만 생각하지만, 그 정도가 아니다. 삶의 방식이 바뀐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83)
-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서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은 디지털 교육만이 아니다. 벌써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시민들과 다양한 문화를 공유하는 것은 물론,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민주시민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도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91)
- 평범한 도서관은 장서량을 늘린다. 좋은 도서관은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대한 도서관은 공동체를 만든다. (92)
-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책과 예술품, 유물,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료가 디지털화되면서 관리 또는 서비스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관련 정보를 한 곳에서 찾거나 즐기려는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라키비움Larchiveum'이 부각되고 있다. 라키비움은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 박물관(Museum)의 합성어로 시민들에게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문화기관의 기능을 한 곳에서 수행하는 복합문화공간을 뜻하는 신조어다. (105)
- 10월 11일을 책의 날로 정한 이유는 당시 책의 날 선언문으로 채택된 '책의 날을 받드는 글'에도 잘 나타나 있다. 책은 마음의 밭을 갈아 생각의 깊이를 더하고, 슬기의 높이를 돋운다."로 시작된 선언문은 "이에 우리는 책의 가없는 뜻을 알리고, 크나큰 고마움을 기리도록 우리의 자랑인 팔만대장경이 나온 시월 열하룻날을 책의 날로 받든다."로 마무리된다. 20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팔만대장경이 우리나라의 출판문화를 대표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팔만대장경은 현재 남아있는 대장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일 뿐만 아니라, 체재와 내용도 가장완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21)
- 지역성은 문화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다. 그래서 대구와 수성구는 지금이라도 문화 정체성을 재정립해야 하는 것이다.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란 구호와 함께, 글로벌과 로컬의 합성어인 '글로컬' 이란 용어가 설득력 있게 다가오는 요즘이다. (155)
- 이젠 공공도서관이 정보자료를 확충하는 데만 집중할 때가 아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구축된 디지털 가상공간에 무수히 많은 정보자료가 무수히 존재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모든 정보자료를 한 공간에 모으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면 이용자들이 원하는 지식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지, 지역사회에서 공적 공간으로서 맡아야 할 역할은 무엇인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 다. 더구나 지금은 코로나19 사태의 종식을 예측할 수 없는 시점이기에 고민이 깊어진다. (197)
도서관은 살아 있다/김상진/학이사 20211020 13,000원 200쪽
"평범한 도서관은 장서량을 늘린다. 좋은 도서관은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대한 도서관은 공동체를 만든다."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 박물관(Museum)의 합성어인 라키비움Larchiveum 즉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해 지역사회의 플랫폼이 되는 도서관의 미래를 상상합니다.
백범 김구 선생이 밝힌 문화의 힘이 도서관에서 시작하면 좋겠습니다.
백범 김구 선생이 밝힌 문화의 힘이 도서관에서 시작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