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감각 - 〈에브리타임〉에서 썰리고 퇴출당하며 벼려낸 청년들의 시대 감각

공정감각 - 〈에브리타임〉에서 썰리고 퇴출당하며 벼려낸 청년들의 시대 감각
  • '진실'이 맥없이 지워지고 '사실'이 근거 없이 조롱과 폄훼를 당하는 것. 바로 한국 사회가 당면한 여러 문제점 중 하나다. 거짓일지라도 혹하게 할 만한 선정적 소문과 풍문, '카더라', 맥락을 삭제해 그럴듯하게 이어 붙인 가짜뉴스. 거짓, 가짜, 짜깁기로 사람들을 정서적으로 동원하고 물리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권력과 권위 그리고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 현실. 나는 이것을 '반지성주의'라 부르기로 했다. 반지성주의는 '아는 것이 힘(권력 혹은 권위)'이 아니라 전혀 모르거나 알려 하지도 않고 알면서도 비틀어버린 '거짓과 가짜가 진실과 사실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하는 힘'이 팽배해진 상태다. 지금 한국 사회에는 이러한 힘을 만들어내며 표심을 얻는 정치인, 돈을 버는 인터넷 인플루언서, 커뮤니티 내 관심의 중심에 선 '관종'이 적지 않다. 동시에 이들을 추종하는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상태에 놓인 사람들 역시 적지 않아 보인다. 진실과 진짜가 아닌, 거짓과 가짜가 힘을 발휘하는 세상에서 대학은, 대학생들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14)
  •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사회적 소수자'라는 개념으로 소수자가 이미 존재하거나 태어나는 존재가 아니라 '사회에서 만들어지는(구성되는)' 존재임을 분명히 한다. 권리의무 역학에서 소수자는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의무에 대한 부담은 똑같지만 권리 향유에서 제약, 차별, 부당함을 '당하는' 존재라고 나는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한국보다 인권 감수성이 높은 사회에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이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권에 제약이 없고 차별받지 않으므로 이동에서 부당한 경험을 현저히 덜 한다.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이동권이라는 권리를 제약 없이 누릴 수 있는 사회에서 장애인은 그러므로 소수자가 아닐 수 있지만 그럴 수 없는 한국에서는 소수자가 '된다'(소수자로 만들어진다). 이처럼 소수자는 특정 맥락이나 사회에서 '만들어지는' 것이지 태어나거나 처음부터 '거기에 있는' 존재가 아니다. (36)
  • 삶은 본래 정치적입니다. 마땅히 슬퍼할 만한 것에 슬퍼하고, 분노해야 할 것에 분노하고, 연대할 것에 연대하는 것이 '정치적'이라면, 저는 기꺼이 정치적으로 살겠습니다. (70)
  •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는 능력주의meritocracy가 실은 '시험주의testocracy' 혹은 '증명서주의certificatocracy'는 아닐지 질문해야 한다. 한 번 통과한 시험과 시험 통과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주어지는 졸업장 등의 증명서는 졸업 후 현장에서 필요한 업무 효율성, 창의성, 사회성, 인품 등의 능력에 관해 설명해주는 바가 전혀 없다. 그럼에도 한 번 획득한 시험 점수와 증명서로 직업 세계에서의 능력까지 입증하고자 하는 '과욕'은, 한 번 사둔 (혹은 물려받은) 건물로 특별한 노력 없이도 지속적으로 거둬들일 수 있는 임대료를 추구하고자 하는 것과 같다는 의미에서 지대추구rent-seeking다. 지대추구가 공정한 게임일 수는 없지 않은가. (97)
  • 더보기...

공정감각/나임윤경 외/문예출판사 20230920 368쪽 18,500원

2022년 5월 청소노동자들의 집회 소음이 수업권을 침해한다며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한 연대생들과 그들을 지지한 커뮤니티, 2020년 인천국제공항공사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분노하며 학력과 학벌에 대한 혐오를 쏟아낸 대학생들이 있습니다. 성소수자와 페미니즘, 비거니즘을 혐오합니다. 이태원 참사, 화물연대 파업, 전장연이 벌이는 지하철 장애인 이동권 보장 시위를 정치적이라고 폄훼합니다. 기레기라고 불리는 언론은 이 목소리가 다수인 것처럼 포장합니다.

김누리 교수는 "자본독재가 파괴한 대학의 폐허"라고 하고 저자는 반지성주의라 합니다. 이대남은 586 자신들이 진화된 결과로 존재한다고 지적합니다. "20대 남성의 일부 '이대남', 즉 반지성주의를 매개로 '민주화의 주역'으로부터 아니 어쩌면 그 이전부터 진화를 시작한 '이대남'이 탄생"했다고 진단합니다. 한국 사회에서 공정은 '시험주의' 혹은 '증명서주의'와 같은 능력주의로 변질됐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3루에서 태어났으면서도 자신이 3루타를 친 줄 안다"는 말처럼 자신이 받아야 할 당연한 보상(권리)이 침해된 것으로 착각하는 능력주의의 모순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차별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데에서 혐오는 시작했습니다.

정치적 의도가 다분한 선택적 분노는 지지하지 않겠다는 대자보 위에 이런 메모지가 붙어 있었습니다.
  • 삶은 본래 정치적입니다. 마땅히 슬퍼할 만한 것에 슬퍼하고, 분노해야 할 것에 분노하고, 연대할 것에 연대하는 것이 '정치적'이라면, 저는 기꺼이 정치적으로 살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