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의 연대기 - 제국주의, 세계화 그리고 불평등한 세계
- 1800년대 이후 지금까지 세계는 놀랄 만큼 부유해졌고 그와 동시에 부의 불평등 역시 지속적으로 심화되었다. 국제구호단체인 옥스팜에 의하면 2014년 기준으로 세계 상위 1퍼센트의 부유층이 전 세계 부의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빈곤층이 전 세계 부의 1퍼센트만을 소유한다. 부의 불평등 정도를 국가별로 비교하면 그 정도가 훨씬 더 심각하다. 같은 해 기준으로 상위 1퍼센트에 해당하는 세계 부자의 80퍼센트 이상이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 주요 10개국에 몰려 있다. 그러나 사하라이남 지역이나 라틴아메리카 그리고 남아시아의 여러 나라 사람들은 1800년대나 지금이나 번영의 수혜를 입지 못한 채 빈곤에 허덕이고 있다. (5)
- 일반적으로 아메리카 대륙을 포함해 대륙 간 경제적·문화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15세기 말 이후를 '최초의 세계화' 혹은 '1차 세계화'로 간주한다. 그리고 정보화에 따른 현대적 의미의 세계화를 2차 세계화라 한다. '최초의 세계화'는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이후 스페인이 이 대륙을 식민지배하면서 시작되었다. (31)
-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의 경우 주로 무력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이윤을 빼앗는 약탈의 방식으로 접근했다면 영국이나 네덜란드는 약탈 자체가 아니라 자신에게 유리하게 교역을 강요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스페인이 포토시에서 은을 자국으로 가져가는 방식이었다면 네덜란드의 경우 아시아의 어느 지역에서 물건을 사서 아시아의 다른 지역으로 가서 처분하고 그 돈으로 다시 그곳의 상품을 사서 다른 곳에 판매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이윤을 챙기는 방식이었다. (59)
- 영국이나 네덜란드는 16세기의 스페인처럼 금이나 은을 강탈하는 방식으로 식민지를 경영하지 않았지만 군사력을 이용해 다른 나라들이 강제로 교역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들 국가는 식민지를 원자재와 노동력의 공급지로, 그리고 완제품의 판매시장으로 활용하였고 식민지에서의 제조업 발달을 강제로 금지시켰다. (86)
- 자원이 풍부한 국가가 빈곤한 원인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도둑정치kleptocracy다. 도둑정치는 빈곤한 국가의 통치계층이나 정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부패체제를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도둑정치는 독재체제하에서 이루어진다. 독재에서 도둑정치를 행하는 위정자, 즉 클렙토크라트kleptocrat는 개인적 부와 권력을 탐하느라 국가의 사회·경제적 문제들을 등한시하여 국가가 위기에 직면했을 때 무능한 모습을 보인다. (122)
빈곤의 연대기/김희순, 박선미/갈라파고스 20150325 440쪽 16,800원
빈곤한 국가에 사는 많은 이들은 끼니 때울 걱정을 하는데 부유한 선진국 사람들은 날씬해지려고 다이어트합니다. "학교에서 전 세계 식량부족 문제에 대해 논의해 보자는 선생님의 제안에 유럽 어린이들은 "식량부족이 뭔가요?"라고 질문했고, 아프리카 어린이들은 "식량이 뭔가요?"라고 질문했다는 이야기(20)"는 슬픔을 넘어 인간의 존재 이유를 돌아보게 만듭니다.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하면서 시작한 세계화는 식민주의, 제국주의와 신자유주의로 변신을 거듭하며 세계를 불평등하게 만들었습니다.
"한 사회 안에 부유한 사람과 가난한 사람이 있듯이 지구상에도 부유한 나라가 있고, 빈곤한 나라가 있다. 부자와 빈자 간 소득 격차가 점점 벌어지듯이 부유한 국가와 빈곤한 국가 간 소득 격차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 특정 개인이 빈곤한 원인을 반드시 게으름이나 무능력과 같은 개인적 특성으로만 설명할 수 없듯이 특정 국가가 빈곤한 원인도 국민성이나 자연환경 등 개별 국가의 속성으로 설명할 수 없다. 사회집단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사회 구조를 배제하고 개인의 빈곤을 설명할 수 없듯이 국가 간 관계를 규정하는 세계 구조를 배제하고 특정 국가의 빈곤을 설명할 수 없다.(36)" 책은 이런 문제를 카카오, 홍차, 바나나, 다이아몬드, 장미와 새우 같은 자원을 소재로 쉽게 설명합니다.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며 시작한 세계화와 자본주의에 관한 연대기입니다. 자본주의가 얼굴을 바꿔가며 저지른 불평등 경제사를 알려주는 교과서로 손색이 없습니다.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빈곤 연대기를 쓰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화 현상은 일상생활 곳곳에서 더욱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 세계화 시기보다 부와 빈곤의 문제는 더욱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부국은 빈국의 빈곤 문제에 일정 부분 책임이 있고, 빈국에 대한 원조는 가난한 이를 돕는 품위 있는 개인의 양심과 도덕이 아닌 채무 이행과도 같은 문제(339)"라지만, 당장 뾰족한 수가 없어 안타깝습니다.
대처의 사망 소식에 영화감독 켄 로치는 "그녀를 기리는 방법은 그녀의 장례식을 민영화하는 것이다. 경쟁 입찰에 맡겨 가장 싼 업체를 선정하자. 그녀는 분명히 그것을 원했을 것이다"라며 독설을 퍼부었습니다. 콜럼버스의 출항은 식민주의와 불평등 역사의 시작이었습니다. 풍요로운 나라가 가난한 나라를 만든 출발점이었습니다. 콜럼버스의 날은 기념할 날이 아니라 원주민 저항이 시작한 날입니다.
"한 사회 안에 부유한 사람과 가난한 사람이 있듯이 지구상에도 부유한 나라가 있고, 빈곤한 나라가 있다. 부자와 빈자 간 소득 격차가 점점 벌어지듯이 부유한 국가와 빈곤한 국가 간 소득 격차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 특정 개인이 빈곤한 원인을 반드시 게으름이나 무능력과 같은 개인적 특성으로만 설명할 수 없듯이 특정 국가가 빈곤한 원인도 국민성이나 자연환경 등 개별 국가의 속성으로 설명할 수 없다. 사회집단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사회 구조를 배제하고 개인의 빈곤을 설명할 수 없듯이 국가 간 관계를 규정하는 세계 구조를 배제하고 특정 국가의 빈곤을 설명할 수 없다.(36)" 책은 이런 문제를 카카오, 홍차, 바나나, 다이아몬드, 장미와 새우 같은 자원을 소재로 쉽게 설명합니다.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며 시작한 세계화와 자본주의에 관한 연대기입니다. 자본주의가 얼굴을 바꿔가며 저지른 불평등 경제사를 알려주는 교과서로 손색이 없습니다.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빈곤 연대기를 쓰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화 현상은 일상생활 곳곳에서 더욱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 세계화 시기보다 부와 빈곤의 문제는 더욱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부국은 빈국의 빈곤 문제에 일정 부분 책임이 있고, 빈국에 대한 원조는 가난한 이를 돕는 품위 있는 개인의 양심과 도덕이 아닌 채무 이행과도 같은 문제(339)"라지만, 당장 뾰족한 수가 없어 안타깝습니다.
대처의 사망 소식에 영화감독 켄 로치는 "그녀를 기리는 방법은 그녀의 장례식을 민영화하는 것이다. 경쟁 입찰에 맡겨 가장 싼 업체를 선정하자. 그녀는 분명히 그것을 원했을 것이다"라며 독설을 퍼부었습니다. 콜럼버스의 출항은 식민주의와 불평등 역사의 시작이었습니다. 풍요로운 나라가 가난한 나라를 만든 출발점이었습니다. 콜럼버스의 날은 기념할 날이 아니라 원주민 저항이 시작한 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