쇳밥일지 - 청년공, 펜을 들다

쇳밥일지 - 청년공, 펜을 들다
청년공은 오랜 기간 떠돌이로 살았습니다. 마산 바닥에서 월세살이하던 실업계 고3 시절, 공부도 싫고 등록금 낼 여유도 없어 취업하려고 했습니다. '대다수가 누린다는 사실조차 인지 못할 요소들이 기간제 상품(17)'일 만큼 가난해서였습니다. 교복을 벗는 순간만 고대했지만, 고민 끝에 진학하기로 했습니다. '고졸이란 딱지는 수갑이며 죄수복이자 족쇄나 다름없(18)'었기 때문입니다. 폴리텍대학에 진학해서도 돈을 벌어야 했습니다. '돈만 주면 지옥 맨 아래층의 재래식 화장실 청소(39)'라도 할 정도로 간절했습니다.

졸업 후 산업 기능 요원으로 일하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2014년 4월 16일 소집 해제했습니다. 페인트칠 막노동을 하다 한국지엠 하청업체, SNT중공업 하청업체, ISO 탱크 컨테이너 정비업체, 현대로템 하청업체, 또 다른 SNT중공업과 현대로템 하청업체, 볼보 하청업체에 이르기까지 지난 12년 동안 수많은 공장을 전전했습니다. 그중 절반을 용접노동자로 살았습니다. 수중에 들어오는 급여는 200만 원 남짓이었습니다. '청년공으로 살아가기란 생각보다는 힘들고 꾸역꾸역 생존은 가능한 나날(9)'이었습니다.

동일노동동일임금을 해달라 절규하는 하청 직원들이 있는데 동일 노동조차 안 시켜주는 현실이었습니다. 하청업체 용접공 자리는 경력을 깡그리 무시하고 임금은 최저 시급으로 후려쳤습니다. '보이지 않는 재벌의 횡포가 아메리카노 정도라면 눈앞에서 직접 체험하는 차별은 에스프레소 원액(111)'만큼 썼습니다. 원청이 곡소리가 나면 하청업체는 이미 사십구재를 지낸 뒤였습니다.

이십대 남성은 공정론, 한탕주의, 일베와 펨코, 안티 페미니즘이란 문자의 감옥 안에 갇혔다. 젊은 친구들 말 좀 들어보자고 얘기하는 사람들도 결국 수도권 대학생들만 예시로 들 뿐. 지금껏 내 삶에서 함께해왔던 동료의 목소리는 바깥으로 가닿지 않았다. 능력주의를 비판하던 이들이 되레 능력주의의 시선으로 청년들을 바라보는 모순. 그게 몹시 불쾌하고 화가 나서 지방 현장 노동자로서 페이스북에 글 하나를 띄웠다. 2030 공장 노동자가 어떻게 살아가는지, 어떤 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는지, 왜 절망과 냉소에 빠질 수밖에 없었는지를 썼다. 남자로 태어나 지방에서 수십 년 커오며 답안지처럼 생각해왔던 평범한 삶이, 가장이 험한 일터에 나가는 대가로 한 가정을 책임져왔던 세상이 이젠 전혀 평범하지 않으며 심지어 시대착오적인 생각이란 걸 깨달았을 때, 오랫동안 알고 있던 세계가 붕괴하고 갈피를 잃은 그 낭패감을 전달하고 싶었다. (225)

2021년 4·7 재보궐선거가 끝나자 부활한 이십대 개새끼론에 화가나서 페이스북에 쓴 글이 많이 공유되었습니다. 《쇳밥일지》는 그렇게 시작한 칼럼을 개고(改稿)하여 묶은 책입니다.

청강문화산업대학교 학위수여식에서 심각한 불평등을 아주 쉽게 체험하는 세상에 살고 있다면서 사고의 근육을 기르라며 이렇게 축사를 했습니다. '우리는 정보 과잉을 넘어 폭주하는 시대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심지어 인터넷의 알고리즘은 편향된 정보만 죽 나열해주기 일쑤죠. 이럴 때일수록 자신의 사고로 움직이고 생각해야 합니다. 그 생각이 정답인지 오답인지는 전혀 상관이 없어요. 핵심 목적은 사고의 근육을 기르는 거니까요.(273)'

포터 아저씨가 말한 '자의식 수수료론'은 지금 가장 적절하고 시급한 말입니다. '자의식과 체력을 골고루 안배하는 게 핵심. 무작정 몸을 한계치까지 몰아가는 게 아니라 때론 욕들을 각오하고 쉬어갈 필요가 있다. 자의식 수수료를 내는 것을 피해선 안 된다. 즉 관리자가 빨리빨리 하라며 채근하는 소리를 듣는 걸 두려워하면 금방 골병 난다고 했다.(280)' 구멍이 날 땐 움직임을 멈출 게 아니라 용접봉을 안으로 밀어넣는 용접하는 요령과 닮았습니다. "빠꾸해, 빠꾸! 빵꾸 안으로 밀어넣어! 쫄지 마! 빵꾸! 빠꾸! 빵꾸! 빠꾸! 그렇지!(132)" 전진만 할 게 아니라 후진이 필요합니다.

사교육과 대학 서열화는 결국 인간의 욕망과 그 욕망의 소산물인 돈이 만들어낸 결과물. 평등과 이해는 돈이 되지 않는다. 돈이 안 되니 가르치지 않는다. 학생들은 자연히 자신의 욕망 외 다른 가치를 모른 채 어른이 된다. 현대 대한민국 사회는 이런 악순환의 굴레 속에서 만들어졌다. (215)

쇳물을 먹물로 잘 녹여 쓴 산문은 먹물들에게 쇳물 밑에도 사람들이 있다고 말합니다. 펜으로 녹여 쓰는 글마다 불꽃이 튀길 바랍니다.

쇳밥일지/천현우/문학동네 20220823 288쪽 14,500원

Comments